[ 결론부터 ]
- 발급방법 : 캄보디아 공항 도착 후 신청
- 필요서류 : 여권, 출입국 카드
- 발급비용 : 30달러
- 소요시간 : 10분~15분
- 사진제출 : 필요없음
[ 캄보디아 비자 안내 ]
1. 캄보디아 비자발급 방법
- 비자(VISA, 사증) 매우 쉬운 질문같지만 잘 모르는 사람에게는 한 없이 어려운 문제입니다. 대한민국 국민은 캄보디아 입국을 위해 반드시 비자가 필요하며, 입국심사대를 통과할 때 유효한 비자를 제시해야 합니다.
- 캄보디아 비자 발급 방법은 3가지 입니다. 각각 장단점이 있겠지만 첫번 째 방법이 가장 간편합니다.
- (1) 캄보디아에 도착하여 공항에서 비자를 받는 방법(일반적으로 많이 쓰는 방법, 추천★★★)
- ㅇ 캄보디아 공항에 도착 후 입국 심사 전
- ㅇ 비용 : 30달러(관광비자 기준)
- (2) 캄보디아 외교부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e-VISA를 발급받는 방법
- ㅇ 외교부 e-VISA 사이트(https://www.evisa.gov.kh/) 접속 후 발급 신청 절차 진행
- ㅇ 비용 : 30달러(관광비자 기준)
2023.08.29 - [캄보디아 여행] - [캄보디아] E비자 신청 방법/ 비자 종류 / 비자 비용 / 비자 사진 등
[캄보디아] E비자 신청 방법/ 비자 종류 / 비자 비용 / 비자 사진 등
< 결론부터! >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자는 캄보디아 입국 시 반드시 비자가 있어야 합니다. 비자 발급은 공항에 도착해서 발급받을 수도 있고, 출국 전 E-Visa(전자비자)로 발급 받을 수도 있습니다
in60sec.tistory.com
(3) 주한 캄보디아대사관에서 비자를 받는 방법- ㅇ 주소 :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55 14층(태평로2가 150)
- ㅇ 전화번호 : 02-3785-1041
- ※ 공통사항 : 입국일 기준 6개월 이상 잔여기간이 남아 있는 여권 소지
2. 캄보디아 비자의 종류
- (1) 단기간 여행 시 : 관광(Tourist)비자
- ㅇ 종류 : 단수
- ㅇ 발급 수수료 : 30불
- ㅇ 체류기간 : 1개월
- ㅇ 기간연장 : 1회 가능(최대 1개월 연장 가능, 비용: 40불)
- - 관광비자로 2개월 이상 체류는 불가합니다.
- ㅇ 특이사항 : 상용(비지니스)비자로 변경 불가함. 체류기간 만료시 하루에 $10불씩 벌금이 부과됨.
- (2) 1개월 이상 장기간 체류 시 : 일반비자
- ㅇ 종류 : 단수(6개월 이상 연장 시 복수로 변경됨)
- ㅇ 발급수수료 : 35불(연장 시 : 1개월 30불, 3개월 60불, 6개월 100불, 1년 180불)
- ㅇ 체류기간 : 1개월
- ㅇ 기간연장 : 제한 없음
- ㅇ 특이사항 : 신청에 성별, 연령, 직업등 특별한 자격 제한 없음. 체류기간 만료시 하루에 $10불씩 벌금 부과.
3. 캄보디아 도착비자(관광비자) 발급 방법
- 해외여행을 많이 한 사람들은 별로 어려움이 없지만, 처음으로 해외 나들이를 하는 사람에게는 입국절차가 매우 큰 걱정거리 입니다. 그러나 크게 걱정할 것은 없습니다. 우선 공항 도착 전 기내에서 승무원이 나눠준 입국카드, 세관신고서를 꼼꼼히 작성해 둡니다. 누락된 항목이 있으면 입국심사 시간이 길어질 수 있으니 꼼꼼히 작성하시기 바랍니다.
- ▶ 출입국카드(IMMIGRATION CARD)
※ 뒷면이 한국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어려울 것 없습니다. 참고로 'Address in Cambodia'는 호텔 이름만 적어도 됩니다.
- 비행기에서 내려서 통로를 따라 걸어가면 도착비자를 신청하는 장소가 나옵니다. 제복을 입은 캄보디아 직원들이 비자서류 처리를 위해 10명 가량 일자로 책상에 앉아 있고 맞은 편에는 안내해 주는 직원이 2~3명 서있습니다.
- 직원에게 여권, 출입국카드, 현금 30달러를 주면 10여분 후 이름을 호명하고 비자가 발급된 여권을 돌려줍니다.
- 이제 여권을 들고 입국심사 장소로 이동하면 됩니다. (그후 짐 찾는 곳으로 이동)
4. 도착비자 신청비용 없을 때 해결방법
- 도착비자 비용은 현금(달러)으로 지급해야 합니다. 신용카드 지불은 불가능 합니다. 달러를 깜빡하고 환전해 오지 못한 경우에는 아래 방법으로 어느정도 해결 가능합니다.
① ATM 이용
- 도착비자 신청하는 곳 옆에 ATM기가 있어서 신용카드가 있다면 현금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.
- 단 국내와 달리 비밀번호(핀코드) 6자리를 요구하기 때문에 미리 알고 있어야 합니다.
② 환전소 이용
- (신용카드가 없는 경우) 원화를 소지하고 있다면 직원에게 부탁해서 환전소에서 달러로 교환할 수 있습니다.
③ 신용카드와 원화 모두 없는 경우
- 주변 한국인 관광객에게 돈을 빌리는 방법뿐입니다. 다른 여행객들이 입국장을 나가기 전에 서두르십시오.
[ 마무리 : 비자 신청에 대한 잘못된 오해 ]
- 사진이 필요하다? 사진은 필요 없습니다. 사진이 없다고 추가비용이 발생하지도 않습니다.
- 여권에 1달러 팁을 껴서 줘야한다? 예전 관행으로 모두 없어졌습니다.
'캄보디아 여행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캄보디아] 프놈펜 호텔 추천 (Citadines Flatiron Phnom Penh) (0) | 2023.09.07 |
---|---|
[캄보디아] 프놈펜 이쁜 카페·맛집 추천 : % Arabica Coffee (응 카페) (1) | 2023.08.31 |
[캄보디아] E비자 신청 방법/ 비자 종류 / 비자 비용 / 비자 사진 등 (0) | 2023.08.29 |
[캄보디아] 스카이앙코르 항공 후기(인천-프놈펜) (0) | 2023.08.25 |
[캄보디아] 프놈펜에서 씨엠립 가는 방법 추천! (밴, 버스) (0) | 2023.08.22 |